You are currently viewing 공자 명언 참된 앎 –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의 의미와 현대적 교훈 –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한 앎이다
공자의 명언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블로그 썸네일

공자 명언 참된 앎 –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의 의미와 현대적 교훈 –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한 앎이다

공자는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 제17장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知之爲知之,不知爲不知,是知也」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직역하면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참된 앎이다.”라는 뜻입니다. 공자 명언 참된 앎의 의미를 가진 이 문장은 단순해 보이지만, 인간의 지식과 겸손, 그리고 진정한 학문의 태도를 모두 함축하고 있습니다.

출처 – 『논어 위정편(爲政篇)』의 맥락

논어 위정편이 펼쳐진 고전 한문 서책 이미지

이 구절은 공자가 제자 자로(子路)의 질문에 답하며 지식의 본질을 설명하던 장면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논어』의 위정편 17장에는 공자의 정치적, 윤리적 가르침이 담겨 있는데, 그중 이 구절은 지식과 무지(無知)를 구분하는 지혜를 강조합니다.

공자는 단순히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교훈을 넘어서,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진정한 지혜”라고 말한 것입니다.

공자가 이 말을 한 이유

현명한 표정의 공자가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전통 동양화 초상화

당시 사회는 지식과 권위를 앞세운 사람들로 가득했습니다. 공자는 그들에게 겉으로만 아는 체하는 위선을 경계했습니다.
그는 제자들에게 “모르는 것을 아는 척하면 학문은 멈추고, 진실한 배움은 사라진다”고 가르쳤습니다.

이 말은 학문의 태도뿐 아니라 인간관계나 사회생활 전반에도 통용되는 진리입니다.
공자는 진정한 ‘지(知)’란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배움을 멈추지 않는 자세라고 보았습니다.

중국과 일본에서의 사용

이 문장은 오늘날 중국에서도 자주 인용되는 대표적인 공자 명언 중 하나입니다.
중국 교육기관에서는 “知之爲知之”를 지식의 정직성(知識的誠實)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가르칩니다.
또한 시험, 논문, 교육 현장에서 겸손한 학문 태도를 강조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일본에서도 이 구절은 ‘知之を知之と為し、不知を不知と為す、是れ知るなり’(ちをちとなし、ふちをふちとなす、これしるなり)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교육철학이나 윤리 교재에 자주 등장하며, “자기 객관화(自己客観化)”의 대표적 표현으로 쓰입니다.

영어 번역과 설명

공자의 명언 영어 번역문 ‘To know that you know what you know…’이 적힌 고전적인 질감의 배경 이미지

이 구절은 영어로 다음과 같이 번역됩니다.

“True knowledge is to know what you know and to know what you do not know.”

영어권에서는 이 말을 “the essence of wisdom”(지혜의 본질)로 설명하며, 소크라테스의 말 “I know that I know nothing.”과 함께 자주 비교됩니다.
두 표현 모두 겸손한 인식이 지혜의 출발점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철학적으로 연결됩니다.

이 말을 사용하는 상황

열린 책 위에 안경이 놓여 있는 이미지

이 명언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인용됩니다.

  • 학문이나 연구: 자신의 지식 한계를 인정하고, 배우려는 자세를 강조할 때
  • 리더십과 조직생활: 모르는 것을 감추지 않고, 도움을 구하는 용기를 표현할 때
  • 인간관계: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고, 아는 체하지 않으며 진정성 있게 대화할 때

예를 들어, “나는 그 부분은 잘 모르지만 배우고 싶습니다.”라는 태도는
바로 공자가 말한 ‘不知爲不知’(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태도)를 실천하는 모습입니다.

우리에게 주는 교훈

이 문장은 오늘날 지식이 넘쳐나는 시대의 경계문이기도 합니다.
인터넷과 인공지능 덕분에 우리는 쉽게 정보를 얻지만, 진짜 ‘앎’과 단순한 ‘정보’는 다릅니다.
공자의 말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이 알고 있다고 믿는 것은 진짜로 이해한 것인가?”

참된 앎이란 단순히 사실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모름을 인정하고, 그 틈을 채워가는 과정입니다.
공자는 지식의 깊이를 측정하는 기준을 ‘겸손’과 ‘정직’에 두었습니다.
따라서 이 명언은 단지 학문적 겸손을 넘어, 삶 전체를 대하는 태도를 가르칩니다.

현대적 통찰 –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안개 낀 호수 위에 세 척의 작은 배가 떠 있고, 멀리 겹겹이 이어진 산맥이 보이는 고요한 풍경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는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 인식의 철학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종종 모르는 것을 숨기고, 아는 척함으로 신뢰를 잃습니다.
공자의 말은 이런 시대에 정직한 앎의 가치를 다시 일깨워 줍니다.

  • 모른다고 말할 용기는 부끄러움이 아니라 성장의 출발점이다.
  • 아는 것을 과시하지 않고 나누는 태도지혜로운 리더십의 본질이다.
  • 끊임없이 배우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습관이 바로 참된 지식인의 길이다.

결국 공자는 “진정한 앎은 마음의 정직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가르친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이 명언은 2,50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공자는 지식보다 태도, 배움보다 마음을 중시했습니다.
“아는 것을 안다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
이 짧은 문장 속에는 겸손, 정직, 성찰, 그리고 성장의 모든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 모두 공자의 이 가르침처럼,
“모른다고 솔직히 말할 수 있는 용기”를 지닌 사람으로 살아간다면,
그것이 곧 진정한 지혜의 시작일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