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oggle전기차 화재와 도어 잠금 장치의 문제

일반적인 내연기관 차량은 충돌 사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도어 잠금 장치가 해제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의 경우 충전 중, 주차 중, 혹은 경미한 사고 후에도 화재가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전기차 화재 비상탈출 방법에 대해서 미리 인지하고 숙지해야 합니다.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차량에 물리적 충격이 없기 때문에 도어 잠금 장치가 자동으로 풀리지 않아 탑승자가 차량 내부에 갇히는 위험이 있습니다. 화재가 시작되면 불길은 매우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몇 초 안에 탈출 여부가 생사를 가를 수 있습니다.
왜 소형 쇠망치가 필요한가?

차량 화재 시 가장 현실적인 탈출 방법은 측면 유리를 깨고 탈출하는 것입니다. 이때 맨손으로는 강화유리를 깨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상용 소형 쇠망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전면 유리는 라미네이트(접합유리) 구조로 되어 있어 충격에 잘 깨지지 않습니다.
- 측면 유리는 강화유리(Tempered Glass) 구조로, 충격 지점에 따라 산산조각 나며 비교적 쉽게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측면 유리를 목표로 쇠망치를 사용해야 합니다.
적절한 망치의 종류

비상탈출 도구는 크게 스프링식 펀치형과 해머형 쇠망치 두 가지가 있습니다.
스프링식 펀치형
- 작은 힘으로도 강한 국소 충격을 주어 유리 파쇄가 비교적 쉬움
- 여성·노약자도 사용하기 쉽고, 크기가 작아 보관이 간편
해머형 쇠망치
- 양쪽 금속 팁으로 내리치면 측면 강화유리 파쇄에 효과적
- 일부 제품은 안전벨트 절단 칼(커터) 일체형
소형 쇠망치, 차량에 비치되는가?

소화기는 일부 차량에 기본 비치되기도 하지만, 비상용 망치는 기본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구입해 운전석 근처, 손이 쉽게 닿는 곳(예: 도어 포켓, 센터콘솔)에 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체 탈출 방법

쇠망치가 없거나 사용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안전벨트 커터 사용: 시트벨트가 풀리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필수입니다.
- 차량 응급 해제 장치 활용: 일부 전기차 모델에는 긴급 도어 해제 레버가 숨겨져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 하이브리드/전기차 매뉴얼 숙지: 제조사별로 응급 탈출 장치의 위치가 다르므로 미리 숙지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부에서의 구조 가능성

비상망치는 본인뿐 아니라 타인을 구조할 때도 유용합니다. 도로에서 차량 화재를 목격했을 때, 내부에 사람이 갇혀 있다면 측면 유리를 깨고 구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로 위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중요한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
유리창 깨기 요령

- 전면 유리가 아닌 측면 유리를 노린다.
- 유리 중앙보다는 모서리 부분을 가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망치를 휘두르기 어려운 공간이라면 스프링식 펀치형이 훨씬 유리하다.
마무리: 생명을 지키는 작은 준비

전기차 화재는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형 쇠망치 한 개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안전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 차량 내부에 반드시 비치할 것
- 가족 구성원에게 사용법을 알려줄 것
- 주행 전 위치를 확인할 것
이 작은 준비가 예기치 못한 순간에 생사를 가르는 결정적 차이가 될 수 있습니다.
🔗 외부 자료 (전기차 화재·탈출 가이드)
공신력 있는 기관의 행동 요령과 기술 자료입니다. 측면 강화유리는 망치로 파손 가능하지만, 전면 적층유리는 매우 어렵습니다. 실제 사고 전 대비용으로 즐겨찾기 해두세요.
전기차 화재 시 대처 요령(소방협회)
불길이 보이면 즉시 하차·이격(약 30m), 차량으로 돌아가지 말 것 등 기본 원칙 정리.
차량 화재 안전 가이드 & 전단
정차·시동 차단·전원 off·100피트 이격·절대 혼자 진화 시도 금지 등 행동 체크리스트.
차량 화재 발생 시 무엇을 할까(2025)
현대 차량 기준 최신 대응 요령: 통신·피난 우선, 진화는 안전 시에만, 도움 요청 절차.
차량 탈출 도구 테스트: 강화 vs 적층 유리
스프링식·해머식의 실효성 비교: 강화유리 OK, 적층유리는 사실상 불가 → 유리 유형 확인 필수.
왜 어떤 창은 망치로도 안 깨지나?
측면 적층유리 채택 확대 배경과 장단점(이탈 방지 vs 탈출 난이도) 해설.
제조사별 응급 대응 가이드(ERGs)
모델별 고전압 차단·절단 포인트·침수·화재 절차 요약(구조대 참고자료지만 일반인 학습에도 유용).
전기·하이브리드차 퀵 레퍼런스(소방용)
현장 초기대응 핵심 포인트: 고전압·열폭주·방전·견인 및 보관 시 주의사항.
탈출 망치, 언제 유효한가?
해머는 ‘강화유리’에만 효과적, 적층유리 차량일 경우 다른 탈출 경로를 즉시 모색할 것.
📚 관련 글
아래 글과 함께 읽으면 전기차 화재 대응과 차량 안전 준비를 더 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