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설상가상 뜻, 유래, 쓰임새 완벽 정리 – 눈 덮인 위에 서리가 내린다는 말의 참 의미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내려 더 나빠지는 상황을 의미하는 사자성어

설상가상 뜻, 유래, 쓰임새 완벽 정리 – 눈 덮인 위에 서리가 내린다는 말의 참 의미

눈 덮인 들판 위에 서리가 내려앉은 식물이 서 있는 겨울 풍경 – 설상가상을 상징하는 이미지

설상가상(雪上加霜)은 직역하면 눈 위에 서리가 더해진다” 라는 뜻입니다.

즉,
이미 상황이 나쁜데 더 나쁜 일이 겹쳐서 일어나는 것
불행이 연속되는 것
엎친 데 덮친 격

과 같은 의미입니다.

이미 추운 겨울날 눈이 쌓여 있는데, 그 위에 또 서리가 내려 더 얼어붙는 상황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됩니다.

❄️ 그렇다면 ‘서리’란 무엇인가?

설상가상(雪上加霜)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많은 사람들이 익숙한 ‘눈’과 달리 상대적으로 덜 알고 있는 ‘서리’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서리(霜)란
✔ 밤이나 새벽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얇고 하얀 얼음 결정이 표면에 내려앉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공기 중의 물기가 꽁꽁 얼어서 풀잎이나 유리창에 붙어 생기는 ‘하얀 얼음가루’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눈은 하늘에서 떨어지지만,
서리는 땅·나뭇가지·풀잎 위에서 바로 얼어붙으며 생긴다는 점이 다릅니다.


❄ 눈 + 서리 = 더 혹독한 상황

눈이 이미 쌓여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추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그 위에 서리까지 내린다면?

✔ 이미 차가운 환경이
더 차갑고 더 단단하게 얼어붙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기존의 나쁜 상황이 더 악화되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기 때문에
‘설상가상’이라는 말은 단순한 불행이 아니라 겹겹이 찾아오는 불운·악재의 누적이라는 강한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이 말의 출처 / 누가 처음 사용했는가?

붓과 고서가 놓여 있고 한쪽 페이지에 한문이 적힌 고전 문헌 이미지 – 설상가상의 출처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사진

설상가상은 중국 고전 『시경(詩經)』 또는 『한서(漢書)』 등에서 등장하는 표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직접적인 사자성어의 형태로 정착된 것은 후한 시대 이후로 보며, 실제로는 ‘한서(漢書)·장형전(張衡傳)’에서 가장 널리 인용됩니다.

《한서 · 장형전》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옵니다.

“雪上加霜”
눈 위에 서리가 더해진다는 말로, 어려움 위에 또 어려움이 겹친다는 비유.

따라서 정확한 인물 한 명이 처음 사용했다기보다
중국 문학과 역사 기록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비유 표현
이라고 보는 것이 더 맞습니다.

설상가상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

눈보라 속에서 추위로 고통스러워하는 남성과 뒤에 고장 난 차량이 있는 장면 – 설상가상을 비유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

설상가상은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① 안 좋은 일이 겹칠 때

  • 집에 누수가 생기고 → 다음 날 자동차도 고장
  • 사업이 어렵고 → 건강까지 나빠짐
  • 시험을 망쳤는데 → 과제 제출까지 깜빡함

② 예상하지 못한 추가적인 악재가 발생할 때

  • 이미 적자가 나고 있는데 큰 사고까지 생김
  • 회사 실적이 나쁜데 핵심 인력까지 퇴사

③ 현실적으로 타격이 커지는 상황

  • 경제가 어려운데 물가까지 급등
  • 일정이 바쁜데 갑자기 추가 업무가 생김

즉,
기존의 나쁜 상황이 더 심해지는 느낌
부정적 사건이 연속되는 분위기
에서 사용합니다.

관련된 이야기·설화 소개

고대 학자가 눈 내리는 창가에서 문서를 읽는 전통 동양화 풍의 일러스트 – 설상가상 관련 고사·설화를 표현한 이미지

설상가상은 특정한 ‘이야기’나 ‘전설’에서 유래한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중국 고사에서 다음과 같은 비유적 맥락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고사적 맥락 — 장형(張衡)의 비유

후한의 학자 장형은 정치적 박해를 당하던 시기에 여러 가지 불리한 사건이 연달아 발생해 매우 힘든 처지에 놓였습니다.

그는 기록에서 자신의 상황을 묘사하며
“눈 위에 서리가 더해진 격이다(雪上加霜)”
라고 표현했습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겪는 연속적인 불운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널리 인용되었고, 후대에는 고정된 사자성어로 발전했습니다.

영어권 사람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

‘Adding frost on top of snow’ 문구와 설상가상의 영어 설명이 포함된 눈·서리 배경 이미지

영어에는 설상가상과 매우 유사한 표현이 존재합니다.

가장 흔한 영어 표현

  1. “When it rains, it pours.”
    → 일이 한번 터지면 크게 터진다
    → 안 좋은 일이 한꺼번에 몰려온다는 의미
    (설상가상과 가장 가까운 일상적 표현)

  2. “Adding insult to injury.”
    → 다친 데 소금 뿌린다
    →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행동

  3. “Out of the frying pan into the fire.”
    → 프라이팬에서 나왔다가 불 속으로 들어가는 격
    → 더 큰 문제에 빠지는 상황

직역형 설명

“It means adding frost on top of snow—making a bad situation even worse.”

영어권에서는 비유적 표현을 선호하므로
When it rains, it pours
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설상가상이 주는 교훈

설상가상이 주는 교훈을 표현한 겨울 풍경 이미지 – 눈 내리는 들판에서 홀로 서 있는 나무와 섹션 제목 텍스트

설상가상은 단순한 “불운”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다음과 같은 교훈이 있습니다.

① 불운은 한꺼번에 올 수 있다 — 대비하라

삶에서는 한 번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위험 관리, 리스크 대비가 중요합니다.

② 위기가 겹칠 때일수록 마음 관리가 필수

안 좋은 일이 연속되면 감정적으로 흔들리기 쉬우므로,
냉정함과 침착함을 잃지 않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③ 작은 문제라도 미리 해결하면 큰 위기를 막을 수 있다

눈 위에 서리까지 내리면 걷기 어려워지는 것처럼,
문제가 쌓이기 전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 불운의 시기는 결국 지나간다

눈과 서리는 시간이 지나면 녹습니다.
설상가상의 시기도 반드시 끝나며,
끝까지 버티는 사람이 결국 다시 일어선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