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노벨상 이야기 : 그 많은 돈은 어디서 나왔고 누가 어떻게 주는가?
알프레드 노벨의 다이너마이트 발명과 상금의 유래, 그리고 노벨상의 종류와 수상 기준을 한눈에 보여주는 썸네일

노벨상 이야기 : 그 많은 돈은 어디서 나왔고 누가 어떻게 주는가?

알프레드 노벨의 초상화, 정장을 입고 차분한 표정으로 앉아 있는 모습

노벨상 관련하여 스웨덴 출신의 화학자이자 발명가인 알프레드 노벨은 1833년 10월 21일 스톡홀름에서 태어났습니다. Biography+3NobelPrize.org+3Encyclopedia Britannica+3
그는 아버지인 이만누엘 노벨(Immanuel Nobel)의 영향을 받아 기술과 공학 분야에 관심을 가졌고, 폭파공학·폭발물 분야 연구를 통해 여러 발명과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NobelPrize.org+2sciencehistory.org+2
대표적으로는 질산글리세린(Nitroglycerin)을 안정화한 형태의 폭발물인 다이너마이트(Dynamite)를 발명했고, 이를 통해 상당한 재산을 모았습니다. HISTORY+1
그가 1896년 12월 10일 이탈리아 산레모(Sanremo)에서 사망했을 때, 그는 미혼이었고 자녀도 두지 않았습니다. NobelPrize.org+1

노벨이 평생 모은 재산이 어느 정도였느냐 하면, 자료마다 다르지만 사망 직전 그의 재산 중 상당 부분 — 약 3 100만 스웨덴 크로나(억원 단위로 환산 가능) 정도가 유언으로 노벨상 제정을 위해 남겨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Nobel Peace Prize+1
유언에 따르면 “이 돈을 기부하여 인류에 가장 큰 혜택을 준 사람에게 상을 주라”는 형태로 지정되었고, 그 유산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다양한 노벨상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NobelPrize.org+1

노벨상의 재원(돈)은 어디서 나오나?

알프레드 노벨 초상화와 다이너마이트, 금화, 달러 지폐가 함께 있는 노벨상 재원을 상징하는 일러스트

사람들이 “노벨이 다이너마이트 팔아서 번 돈으로 상 주는 거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대체로 정확한 인식입니다. 다만 “그 돈을 그냥 썼다”기보다는 “유언으로 맡긴 유산을 기금화하고 그 투자수익으로 상금·운영비를 충당”하는 구조입니다.

  • 유언 : 노벨은 자신의 재산 대부분을 ‘기금으로 전환해 인류에 가장 큰 혜택을 준 사람에게 상을 주라’는 형태로 지시했습니다. NobelPrize.org+1
  • 설립과 관리 : 유언에 따라 1900년 설립된 Nobel Foundation(노벨재단)이 그 유산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NobelPrize.org+1
  • 투자 및 수익 구조 : 노벨재단은 유산을 ‘안전한 증권(safe securities)’ 등에 투자하고 그 수익을 상금 및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NobelPrize.org+1
    예컨대 공식 FAQ에는 “노벨이 사망하고 남긴 돈을 ‘안전한 증권에 투자하라’고 했으며, 그 투자이자(interest)가 오늘날 노벨상 수상금으로 사용된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NobelPrize.org
  • 최근 현황 : 예컨대 2024년 말 기준으로 노벨재단의 투자자본이 약 66 억 스웨덴 크로나(약 수십억 달러 규모)였으며, 이 투자자본이 연간 수익을 통해 수상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NobelPrize.org

따라서 요약하면, 노벨상이 매년 주어질 수 있는 이유는 노벨이 남긴 유산을 기금화하고 이를 지켜 투자 수익을 얻어 상금 및 운영비로 사용해 왔기 때문입니다.

노벨상을 받는 기준은?

노벨 메달과 체크리스트가 함께 있는 일러스트로, 노벨상 수상 기준을 상징하는 이미지
  • 노벨유언의 핵심 문구는 “그 전(前)해 동안 인류에 가장 큰 혜택을 준 사람(들)에게 상을 수여하라”는 형태였습니다. EBSCO
  • 실제로 각 상의 선정기관들은 후보추천 → 심사 → 수상자 결정이라는 절차를 따릅니다. 예컨대 조직체, 학계, 전문가 심사위원 등이 후보를 추천하고, 선정기관이 독립적으로 심사합니다. NobelPrize.org+1
  • 여러 해에 걸친 업적이나 기여가 반영되며, 단순히 한 해의 성과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인류에 대한 기여’라는 보다 광범위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 또한 수상자는 일반적으로 한 분야당 최대 3 명까지(또는 단체)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Reddit+1
  • 다만 세부적인 지침이나 후보 기준은 각 기관마다 다소 차이가 있고, 공개되지 않는 부분도 많습니다.

노벨상의 종류(몇 가지 상이 있고 매년 수상하나)

화학상, 평화상, 의학상, 물리학상을 상징하는 노벨 메달 일러스트
  • 기본적으로 유언에 의해 제정된 상은 5가지입니다: 물리학(Physics), 화학(Chemistry), 생리의학 또는 의학(Physiology or Medicine), 문학(Literature), 평화(Peace)입니다. Encyclopedia Britannica+2Encyclopedia Britannica+2
  • 여기에 1968년 스웨리예스리크스뱅크(Sveriges Riksbank)가 설립한 ‘경제과학 분야 노벨상(정식명칭: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이 추가로 있습니다. NobelPrize.org+1
  • 따라서 현재는 총 6개 분야의 노벨상이 존재합니다. Encyclopedia Britannica+1
  • 매년 수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첫 시상은 1901년이었고, 이후 매년 각 분야별로 수상자가 발표됩니다. NobelPrize.org+1
  • 수상 시기는 모든 분야가 동일하지는 않습니다만, 발표 및 시상식은 통상 10월 초 ~ 12월 초 사이에 이루어지며, 특히 시상식은 매년 12월 10일(노벨 사망일) 전후로 실시됩니다. NobelPrize.org

수상기관 및 수상국가

스웨덴과 노르웨이 국기, 고전 양식의 건물, 노벨상 메달이 함께 있는 삽화 이미지
  • 노벨유언에 명시된 각 분야별 수상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물리학 및 화학: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스웨덴) NobelPrize.org
  • 생리의학 또는 의학: Nobel Assembly at Karolinska Institutet (스웨덴) NobelPrize.org
  • 문학: Swedish Academy (스웨덴) NobelPrize.org
  • 평화: Norwegian Nobel Committee (노르웨이) Nobel Peace Prize+1
  • 즉, 수상기관 대부분은 스웨덴에 있고, 평화상만 노르웨이 기관이 맡고 있습니다. Encyclopedia Britannica
  • 수상 국가(국적)는 수상자가 속한 국적 또는 소속기관에 따라 다양하며 특정 국가에 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전 세계 각국의 개인 및 단체가 수상해 왔습니다.
  • 수상 시 국가·기관·언어·성별 등의 다양성이 최근 들어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

요약 및 마무리

노트 위에 놓인 금색 노벨상 메달과 검은색 펜이 따뜻한 조명 아래에 놓여 있는 이미지
  • 노벨상은 단순히 ‘똑똑하고 사회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매우 영광스러운 상이 맞습니다.

  • 이 상이 지속해서 주어질 수 있는 배경은 알프레드 노벨이 자신의 재산을 유언으로 남겼고, 이를 관리하는 노벨재단이 그 유산을 운용하여 상금 및 운영비를 충당하는 구조 덕분입니다.

  • 수상 기준은 인류에 대한 큰 기여를 바탕으로 하며, 여러 분야별로 전문 기관이 독립적으로 수상자를 선정합니다.

  • 현재 노벨상은 6개 분야(물리학, 화학, 생리의학/의학, 문학, 평화, 경제과학)가 있으며, 매년 수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원칙입니다. 발표 및 시상 시기는 대체로 10월 발표 → 12월 수상식 형태입니다.

  • 수상기관은 스웨덴 및 노르웨이의 지정된 학술기관 및 위원회들이며, 수상자는 전 세계 각국에서 나옵니다.

이 글이 블로그 독자들에게 노벨상의 ‘재원과 구조’, ‘수상 기준’, ‘종류와 수상기관’ 등에 대해 명확히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