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엑셀 TODAY 함수와 엑셀 NOW 함수 완전 정복 – 날짜와 시간 계산 제대로 활용하기
초보도 쉽게 배우는 날짜·시간 계산 – 엑셀 TODAY, NOW 함수 활용법

엑셀 TODAY 함수와 엑셀 NOW 함수 완전 정복 – 날짜와 시간 계산 제대로 활용하기

엑셀 TODAY 함수와 NOW 함수를 설명하는 교육용 그래픽 이미지

엑셀을 자주 사용하는 분이라면 날짜나 시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불러오고, 이를 활용해 계산하는 기능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바로 TODAY()NOW()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함수의 기능과 차이점, 그리고 사칙연산을 활용한 날짜 계산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TODAY 함수란?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만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TODAY()

📌 결과 예시 (2025년 7월 24일 기준):
2025-07-24

📝 이 함수는 매일 엑셀을 열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며, 연도·월·일 중에서 시간 정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NOW 함수란?

Excel에서 NOW 함수를 이해하려는 남성이 고민하는 모습의 일러스트

NOW() 함수는 현재 날짜와 시간 모두를 반환합니다.

=NOW()

📌 결과 예시:
2025-07-24 10:45

📝 이 함수도 마찬가지로 엑셀을 열 때마다 실시간으로 현재 날짜와 시간을 다시 계산해줍니다.

두 함수의 차이점 (TODAY VS NOW)

📝 TODAY 함수와 NOW 함수,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엑셀에서 날짜를 다룰 때 자주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TODAY()NOW()입니다. 두 함수 모두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정보를 반환하지만, 시간 포함 여부값이 갱신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그 차이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며, 표에서는 각각의 특성을 간단히 비교해 정리했습니다.

TODAY() 함수는 날짜만 표시되므로 일자 계산에 적합하고, NOW() 함수는 시간까지 표시되므로 보다 정밀한 시간 계산에 유용합니다. 두 함수의 용도를 정확히 구분하면 실무에서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합니다.

함수명 반환 값 시간 포함 여부 갱신 방식
TODAY() 현재 날짜 (2025-07-24) ❌ 시간 미포함 문서 열 때 자동 갱신
NOW() 현재 날짜와 시간 (2025-07-24 10:45) ✅ 시간 포함 실시간 갱신

➕➖ 사칙연산으로 날짜 계산하기

엑셀의 날짜/시간은 숫자로 처리되기 때문에, +, -, *, / 사칙연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날짜 더하기 / 빼기

수식 설명 결과 예시
=TODAY() + 7 오늘로부터 7일 후 2025-07-31
=TODAY() - 30 30일 전 날짜 2025-06-24
=마감일 - TODAY() 마감일까지 남은 일수 5
💡 배송 예정일, D-Day 계산 등에 활용 가능

🕒 시간 더하기 / 빼기

수식 설명 결과 예시
=NOW() + 1 24시간 후 2025-07-25 10:45
=NOW() + 0.5 12시간 후 2025-07-24 22:45
=NOW() + 1/24 1시간 후 2025-07-24 11:45
=NOW() - 특정시간 경과 시간 3시간
⏱ 회의 시작 시간, 근무 시간 계산, 시간 경과 확인 등에 활용 가능

날짜·시간 간격 계산하기

엑셀에서는 날짜·시간 간의 차이를 숫자로 계산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날짜 간격 (일 수)

=종료일 - 시작일
📍 예: 2025-08-01 - 2025-07-24 = 8

📌 시간 간격 (시간 단위)

=(NOW() - 시작시간) * 24
📍 결과 예시: 3.25 → 약 3시간 15분 경과

시간 단위 변환 공식

🕒 엑셀에서 시간을 계산할 땐 ‘단위 변환’이 핵심입니다!
엑셀에서는 날짜와 시간이 “하루를 기준으로 한 소수값”으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1은 하루(24시간)를 의미하며, 0.512시간, 0.256시간을 뜻합니다.

이를 정확히 이해하면, 시간 간격 계산이나 마감 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수식으로 보다 정밀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엑셀에서 사용하는 시간 단위 변환 공식을 정리한 것입니다.

  • 1시간 = 1/24
  • 1분 = 1/1440
  • 1초 = 1/86400

이 수치를 활용하면 NOW()TODAY() 함수로 구한 시간 차이를 시, 분, 초 단위로 변환할 수 있어 실무에 매우 유용합니다.

⏱️ 엑셀 시간 단위 계산
단위 수식 설명
1시간 1/24 하루 24시간
1분 1/1440 하루 1440분
1초 1/86400 하루 86400초

실전 활용 예시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엑셀 날짜/시간 계산 공식!
엑셀에서는 TODAY()NOW() 함수를 활용해 마감일까지 남은 기간, 근속일 수, 퇴근까지 남은 시간, 배송 예정일 등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일정 관리도, 날짜 간격 계산도 몇 가지 수식만 알면 끝!

아래 표는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날짜 및 시간 계산 예시를 정리한 것입니다.
단순한 날짜 더하기부터, 시간 단위 환산까지!
직장인이라면 꼭 익혀야 할 실전 공식들입니다.

📅 날짜 및 시간 활용 예시
상황 수식 결과
배송 예정일 =TODAY() + 3 3일 후 날짜
프로젝트 D-Day =마감일 - TODAY() 남은 일수
퇴근까지 남은 시간 =(퇴근시간 - NOW()) * 24 시간 계산
입사일로부터 근속일수 =TODAY() - 입사일 총 근무 일수

되짚어보는 핵심 포인트

TODAY()NOW() 함수는 단순히 날짜나 시간을 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계산과 조건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함수입니다.
날짜와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거나, 자동화된 날짜 입력이 필요할 때 이 함수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