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엑셀 LAN 함수란? LENB 함수로 한글 바이트 수 계산하는 법
문자열 길이를 계산하는 엑셀 LAN 함수와 LENB 함수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하는 이미지

엑셀 LAN 함수란? LENB 함수로 한글 바이트 수 계산하는 법

엑셀 LAN 함수는 Excel에서 문자열의 바이트 수(Byte count)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특히, 한글과 같은 다국어 문자의 바이트 길이를 정확히 측정할 때 유용합니다.

단, 정확한 함수 이름은 LENB입니다. 그래서 엑셀 LANB 함수 라고 명칭하는 것이 원래는 정확합니다.  LAN 함수는 오타이거나 비공식적인 표현으로, 대부분 사람들이 LAN이라고 검색하지만 Excel에는 LENB 함수만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는 사용자가 찾는 LAN 함수 = LENB 함수로 보고 설명드립니다.

엑셀 LAN 함수와 LENB 함수로 한글 바이트 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썸네일 이미지

LENB 함수의 함수 구조

엑셀 LEN 함수의 구문 설명 이미지, 함수 이름과 인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

=LENB(text)

text: 바이트 수를 계산할 문자열 또는 셀 참조

이처럼 LENB 함수는 문자의 바이트 수를 계산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매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수식처럼 함수 이름을 입력한 뒤, 바이트 수를 계산하고자 하는 문자가 들어 있는 셀을 선택하면 바로 적용됩니다.
마우스로 해당 셀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활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LEN 함수와 LENB 함수의 차이점

LEN 함수와 LENB 함수의 차이를 보여주는 캐릭터 일러스트 이미지
항목 LEN 함수 LENB 함수 (LAN 함수로 잘못 불리는 것)
계산 방식 문자 개수를 반환 바이트 수를 반환
한글 1글자 1로 계산 2바이트로 계산
영문 1글자 1로 계산 1바이트로 계산
사용 환경 모든 Excel 다국어 환경(특히 한글 Excel)에서 의미 있음
예시 안녕 2 4

✅ 즉, LAN 함수로 검색되는 것은 실제로는 LENB 함수이며, 한글 등 다국어 환경에서 문자의 바이트 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LENB 함수 실전 예시

노트북으로 LENB 함수 수식을 사용하는 귀여운 곰 캐릭터 일러스트
입력값 (A1) 수식 결과 설명
Hello =LENB(A1) 5 영문은 1바이트씩 계산
안녕 =LENB(A1) 4 한글은 2바이트씩 계산
A B C =LENB(A1) 5 공백도 1바이트로 계산

위 예시는 LENB 함수가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보여주는 간단한 실습 표입니다.
같은 문자열이라도 문자 종류에 따라 바이트 수가 다르게 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영문(Hello)은 문자 하나당 1바이트로 계산되어 총 5바이트입니다.
  • 한글(안녕)은 문자 하나당 2바이트로 계산되므로 총 4바이트입니다.
  • 영문과 공백이 섞인 A B C는 영문 3글자와 공백 2개를 포함해 총 5바이트로 계산됩니다.

💡 이처럼 LEN 함수는 문자 개수, LENB 함수는 바이트 수를 계산하므로
다국어 환경에서 입력 길이를 제한하거나 문자 처리 기준이 바이트 단위인 경우 LENB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언제 LAN(LENB) 함수를 사용할까요?

노트북 앞에서 LAN(LENB) 함수 사용 시점을 궁금해하는 곰 캐릭터 일러스트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연동 시 데이터 길이 제한 확인
  • 문자열 바이트 수 제한이 있는 API 또는 프로그램과 통신할 때
  • 한글 또는 다국어 입력이 제한된 입력창 처리
  • 문자 수가 아닌 메모리 크기 기반으로 데이터 정제할 때

LEN vs LENB 시각적 비교

LEN 함수와 LENB 함수의 문자 개수 vs 바이트 수 차이를 비교하는 캐릭터 일러스트
문자열 LEN 결과 LENB 결과 설명
Excel 5 5 모두 영문이므로 동일
안녕 2 4 한글 2글자 = 4바이트
Hello 안녕 8 12 영문 5 + 공백 1 + 한글 2 = 12바이트

위 그림과 표는 LEN 함수와 LENB 함수의 가장 큰 차이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LEN 함수는 문자 개수, LENB 함수는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값을 계산합니다.

  • Excel처럼 영문만으로 구성된 문자열은 LEN과 LENB 모두 같은 결과(5)를 반환합니다.
  • 하지만 안녕처럼 한글은 글자당 2바이트로 계산되기 때문에, LEN은 2를, LENB는 4를 반환합니다.
  • Hello 안녕처럼 영문과 한글, 공백이 혼합된 문자열은 LEN과 LENB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LEN은 문자 수(8), LENB는 바이트 수(12)를 반환합니다.

이처럼 문자열에 한글이나 특수 문자가 포함되면 LEN과 LENB의 결과는 달라지게 되며,
데이터 용량 기준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LENB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LENB를 다른 함수와 함께 쓰기

LENB 함수와 LEFTB, IF 함수를 함께 사용하는 장면을 묘사한 귀여운 캐릭터 일러스트

💡 LENB 함수는 다른 함수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어요

📌 LEFTB, RIGHTB, MIDB와 함께 사용
바이트 단위로 문자열을 자를 수 있습니다.

=LEFTB(A1, 6)   →   바이트 기준 왼쪽에서 6바이트 추출

📌 IF 함수로 바이트 수 기준 조건 검사

=IF(LENB(A1) > 10, "길이 초과", "적정 길이")

👉 이 수식은 문자열의 바이트 수가 10을 초과하면 "길이 초과", 그렇지 않으면 "적정 길이"로 판단합니다.

LENB 함수는 단독으로도 유용하지만, 다른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면 활용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특히 문자열을 바이트 기준으로 자르거나, 조건을 걸어 처리할 때 매우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 LEFTB, RIGHTB, MIDB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문자열을 글자가 아닌 바이트 단위로 잘라낼 수 있습니다.
    예: =LEFTB(A1, 6) → A1 셀의 문자열에서 왼쪽부터 6바이트까지 잘라냅니다.
  • IF 함수와 결합하면 문자열의 바이트 수에 따라 조건부 출력도 가능합니다.
    예: =IF(LENB(A1)>10, "길이 초과", "적정 길이")
    → A1 셀의 바이트 수가 10을 초과하면 “길이 초과”, 그렇지 않으면 “적정 길이”로 출력합니다.

이처럼 LENB 함수는 단순히 바이트 수만 계산하는 함수가 아니라, 다양한 조건 및 텍스트 처리와 함께 조합하여 강력한 데이터 분석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자주 묻는 질문을 나타내는 귀여운 곰 캐릭터와 FAQ 텍스트 일러스트

Q1. 왜 LENB 함수는 한글을 2바이트로 계산하나요?
A. 한글은 유니코드 상에서 일반적으로 2바이트를 사용하며, 이를 반영한 함수입니다.

Q2. LAN 함수는 공식 함수인가요?
A. 아니요, LAN 함수는 공식 함수가 아닙니다. 실제로는 LENB 함수이며, LAN은 흔한 오타나 사용자 검색어입니다.

Q3. Mac에서는 LENB가 다르게 작동하나요?
A. Mac Excel에서는 기본적으로 문자 단위(LEN과 동일)로 처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Windows 환경에서 바이트 기반으로 확실하게 동작합니다.

정리하며

'정리하며' 텍스트 옆에 엄지척을 하는 귀여운 노트북 캐릭터 일러스트
  • LAN 함수는 공식적으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대부분 LENB 함수를 의미합니다.
  • LENB 함수는 문자열의 바이트 수를 계산하는 데 유용합니다.
  • 한글은 글자 수와 바이트 수가 다르므로, 문자 수가 아닌 데이터 용량이 중요한 상황에서 LENB 함수 사용이 적합합니다.

🔗 LANB 함수 관련 공식 자료 보기

위 링크들은 LANB 함수(LENB)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공식 및 실용 문서입니다. 더 깊이 있는 학습에 활용해보세요.

📌 관련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 TODAY와 NOW 함수를 이용해 날짜와 시간을 자동 계산하는 방법도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보세요.

👉 TODAY & NOW 함수 활용법 바로가기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