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뜻과 유래 — 뻔뻔함의 극치를 표현하는 고사성어 완전정리
적반하장도 유분수지의 뜻과 유래를 설명하는 블로그 글 썸네일 이미지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뜻과 유래 — 뻔뻔함의 극치를 표현하는 고사성어 완전정리

몽둥이를 든 남성이 양반 복장의 남성을 위협하는 모습을 그린 전통풍 삽화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뜻
→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 하여도 정도(限度)가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 적(賊) : 도둑, 죄지은 자 라는 뜻입니다.
  • 반(反) : 도리어, 거꾸로 라는 뜻입니다.
  • 하장(荷杖) : 매를 맞을 사람(원래 벌을 받아야 할 사람)이 매를 들고 오히려 다른 사람을 때린다는 뜻입니다.
  • 유분수지(有分數之) : 정도가 있다, 도가 지나치다 라는 뜻입니다.

즉,
➡️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소리치고 억지를 부리는 상황을 비판하는 말이며, 도둑질한 사람이 아무리 매를 들어도 정도껏 해야 한다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드라마나 현실에서 누군가 뻔뻔하게 거짓말하거나 책임을 남에게 떠넘길 때 자주 쓰이는 표현의 말입니다. 

이 말의 유래와 최초 등장

이 표현은 전통적인 고사성어(故事成語)이자, 한국·중국 고전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특히 중국의 고사(故事)에서 “賊反荷杖(적반하장)”이라는 말이 먼저 존재하며, 이후 “유분수지(有分數之)”를 붙여 도를 넘었다는 의미를 강조한 확장형 문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 최초 기록

“적반하장(賊反荷杖)”은 중국 명나라 시대의 문헌에 이미 등장하며,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 문헌에서도 발견됩니다.
즉, 중국 고전 표현이 한국에서 더욱 완성된 속담 형태로 자리 잡은 것입니다.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

사무실에서 한 남성이 동료를 향해 화를 내며 손가락질하는 상황을 그린 고전풍 삽화
✅ 상황 2

거짓말한 사람이 오히려 정당성을 주장할 때

  • 사실관계가 드러났는데도 논점을 바꾸거나 피해자 탓을 함
  • 증거 제시 요구를 더 큰 소리로 덮으려는 시도
예: 사기성 판매를 한 뒤 “원래 다 이렇게 사는 거예요”라며 피해자에게 무지를 탓함.
대화 예시: 계약서에 다 써 있잖아요. 못 읽은 게 잘못이죠. → 가해자가 정당성 코스프레.
적절거짓·책임 회피가 확인된 뒤의 억지 주장
부적절상호 해석 차이로 분쟁 중(사기·거짓 확정 전)
✅ 상황 3

뻔뻔함이 정도를 넘을 때

  • 실수한 직원이 상사를 탓하거나,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사과 요구까지 함
  • 권력·목소리로 밀어붙이며 책임의 방향을 완전히 뒤집음
예: 보고서 누락 후 “검토를 제대로 안 해준 상사 탓”이라며 면담에서 큰소리.
대화 예시: 결재만 빨리됐으면 문제 없었어요. 제 탓 아닙니다. → 듣는 이들: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적절명백한 과실 + 책임 전가 + 공격적 태도
부적절피드백 과정의 일반적 이견 표명

중국에서도 사용하는가?

중국에서도 賊反荷杖(zéi fǎn hé zhàng) 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중국에서도 의미는 동일하며, “뻔뻔하게 뒤집어씌우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다만 한국처럼 “유분수지(有分數之)”를 붙여 쓰는 경우는 적고, 주로 적반하장(賊反荷杖)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일본에서도 사용하는가?

일본에서는 직접적으로 같은 한자성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뜻의 일본 표현이 있습니다.

✅ 일본에서 유사한 표현

  • 盗人猛々しい(ぬすっとたけだけしい)
    → “도둑이 오히려 큰소리친다”라는 뜻

  • 逆ギレ(ぎゃくギレ)
    →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화내는 것(완전히 같은 의미)

따라서 일본인에게 설명할 때는
“盗人猛々しい” 또는 “逆ギレ”로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관련된 이야기나 설화

도둑이 훔친 자루를 들고 오히려 피해자를 위협하는 모습을 그린 전통풍 삽화

고대 중국에서는 죄지은 사람이 처벌을 받는 과정에서 오히려 억지를 부리며 매를 들었다는 이야기가 여러 문헌에서 등장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설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적반하장’ 고사 이야기

어떤 사람이 남의 재산을 훔쳤는데, 도둑이 도둑질한 것을 들키자 도리어
“내가 도둑이 아니다! 당신이 나를 모함한다!”
라고 하며 매를 들어 피해자를 위협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이 황당한 상황을 비유해
➡️ “도둑이 오히려 매를 든다(賊反荷杖)”
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이후 한국에서는
➡️ “정도라는 것이 있다(有分數之)”를 추가하여
더 강한 비판 문구로 발전했습니다.

영어로는 어떻게 설명할까?

영어에는 정확한 한 단어 표현은 없지만, 비슷한 의미를 가진 표현을 조합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가장 가까운 표현들

  • The guilty party plays the victim.
    → 잘못한 사람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한다
  • Blaming the victim.
  • He has some nerve. (뻔뻔하게 굴 때)
  • Talk about adding insult to injury.
  • Accusing others while being in the wrong.

✅ 영어 설명 문장 예시

It refers to a situation where someone who is clearly at fault becomes angry, blames others, or pretends to be the victim.
Literally, it means “Even a thief wielding a stick has limi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