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currently viewing 엑셀 COUNT 함수 완전 정복 – 숫자 셀만 정확하게 세는 방법과 실전 예제
숫자가 입력된 셀만 세는 엑셀 COUNT 함수의 개념과 사용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유튜브/블로그용 썸네일 이미지입니다.

엑셀 COUNT 함수 완전 정복 – 숫자 셀만 정확하게 세는 방법과 실전 예제

엑셀 COUNT 함수 완전 정복 썸네일 – 숫자 셀만 정확하게 세는 방법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한 번쯤은 들어 보았을 함수가 바로 COUNT 함수일 것입니다. 이름 그대로 어떤 것을 세는 것인데, 숫자로 구성된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 입니다. 그리고 여러 열(줄)을 동시에 영역을 지정하여 숫자가 포함된 셀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엑셀 COUNT 함수는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만 세는 함수입니다.
텍스트, 빈 셀, 오류값 등은 무시하고 오직 숫자 값이 있는 셀만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열
10
사과
20
30

이 경우 =COUNT(A1:A5)의 결과는 3입니다. (숫자 10, 20, 30만 세어짐)

2. COUNT 함수의 기본 구조

=COUNT(value1, [value2], …)

  • value1 : 필수. 숫자나 셀 범위
  • value2 : 선택. 여러 개의 값을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

예시:

  • =COUNT(1, 2, 3) → 결과: 3
  • =COUNT(A1:A10) → A1부터 A10까지 숫자가 입력된 셀의 개수
엑셀 COUNT 함수의 구문 설명 이미지 – 필수 인수와 선택 인수를 동그라미 숫자로 구분한 예시

3. COUNT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 텍스트가 있는 셀은 계산하지 않습니다.
    (예: “사과”, “hello” 등은 제외)
  • 빈 셀도 세지 않습니다.
  • 날짜TRUE/FALSE는 숫자로 간주되기 때문에 포함됩니다.
    (예: TRUE는 내부적으로 1, FALSE는 0)
검은 원 안에 느낌표가 중앙에 배치된 단순한 주의 표시 아이콘

5. COUNT 함수 예제 ② – 숫자와 텍스트가 섞인 경우

엑셀 COUNT 함수 예제 – 숫자와 텍스트가 섞인 셀 범위에서 숫자 셀만 세는 예시 화면
A열
100
사과
200
바나나

=COUNT(A1:A5) → 결과: 2
※ “사과”, “바나나”, 빈 셀은 제외됨

6. COUNT 함수 예제 ③ – 숫자와 빈 셀이 섞여 있는 경우

엑셀 COUNT 함수 예제 – 숫자와 빈 셀이 섞인 범위에서 숫자 셀 개수 계산 예시
A열
10
사과
20
30

=COUNT(A1:A5) → 결과: 2
※ “사과”, “바나나”, 빈 셀은 제외됨

7. 실무에서 COUNT 함수가 유용한 상황

  • 판매 수량, 점수 등 숫자 데이터만 있는 칸의 개수 파악
  • 빈 데이터와 텍스트가 섞여 있는 표에서 숫자만 추출
  • 설문 응답 결과에서 응답한 사람 수 세기 (숫자로 응답했을 경우)
“실무에서 COUNT 함수가 유용한 상황”이라는 제목과 바 차트 아이콘이 포함된 이미지

8. 다른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

  • COUNTIF
    조건에 맞는 숫자 셀만 세기 → =COUNTIF(A1:A10, ">100")
  • ISNUMBER와 함께
    수식 안에서 숫자인지 판별 후 계산 가능
  • 배열 함수에서 유용
    예: =COUNT(FILTER(A1:A10, A1:A10 > 50)) (Excel 365)
"다른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라는 문구가 녹색 글씨로 중앙에 배치된 이미지
  • COUNTIF 함수와 함께 – 조건에 맞는 숫자 셀만 세기

    • COUNT는 조건 없이 모든 숫자 셀을 세지만,
      COUNTIF특정 조건에 맞는 숫자 셀만 세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예시:

=COUNTIF(A1:A10, “>100”)

  • A1:A10 범위 중 100보다 큰 숫자만 카운트합니다.
  • 단순 집계가 아닌 조건부 통계가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합니다.

✅ TIP: “보다 크다”, “같다”, “포함한다”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ISNUMBER 함수와 함께 – 숫자인지 판별한 뒤 COUNT

엑셀에는 숫자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텍스트인 셀이 종종 있습니다.
ISNUMBER해당 셀의 값이 숫자인지 아닌지 판별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응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배열 수식):

=COUNT(IF(ISNUMBER(A1:A10), 1))

  • A1:A10 범위에서 숫자인 셀만 판별하여 개수 계산
  • Excel 365 또는 Ctrl+Shift+Enter를 사용하는 배열 수식에서 유용

✅ 실제 데이터에서 오류나 텍스트가 섞여 있을 때 숫자만 정확히 카운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FILTER 함수와 함께 – 조건을 만족하는 값만 추출 후 개수 세기 (Excel 365 전용)

FILTER 함수는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해줍니다. 이를 COUNT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특정 조건에 맞는 숫자 셀만 세는 고급 분석이 가능합니다.

예시:

=COUNT(FILTER(A1:A10, A1:A10 > 50))

  • A1:A10 범위에서 50보다 큰 값들만 필터링한 후 COUNT
  •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실시간 개수를 계산합니다

✅ Excel 365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동적 배열 환경에 최적화된 방법입니다.

함수 조합 사용 목적 사용 예
COUNT + COUNTIF 조건에 맞는 숫자 셀만 세기 =COUNTIF(A1:A10, ">0")
COUNT + ISNUMBER 숫자인지 판별 후 개수 계산 배열 수식 사용
COUNT + FILTER 필터링된 데이터의 개수 세기 =COUNT(FILTER(...))

9. 마무리 – COUNT 함수 핵심 요약

  • COUNT숫자가 있는 셀만 세는 함수입니다.
  • 텍스트, 빈 셀, 오류값은 무시됩니다.
  • 실무에서는 숫자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텍스트도 포함해 세고 싶다면 COUNTA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엑셀 시트 위에 COUNT라고 적힌 일러스트 이미지

답글 남기기